1. 개요 WHO 혈액종양 분류 제5판 (World Health Organization Classification of Haematolymphoid Tumours, WHO-HAEM5, 2024)과 국제합의분류 (International Chamber of Commerce, ICC, 2022)는 혈액종양의 진단 기준에 중요한 변화들을 반영하였다. 두 분류는 병리학적 진단뿐 아니라 분자유전학, 임상 정보를 통합하는 방향으로 발전하였으며, 진단명이 간소화되고 일부 통합되었으며, 새로운 진단명이 도입되었다.
2. WHO 제5판과 ICC 분류의 구조적 차이점 WHO 제5판은 MPN, MDS, AML 등 주요 질환군의 기존 틀을 유지하면서, 유전 정보를 반영한 세부 기준을 강화하였다. 반면 ICC는 기존 분류 체계 일부를 재구성하고 통합하여, 유전학적 이상 중심의 새로운 기준을 시도하였다. 두 분류 모두 새로운 질환 개념을 다수 추가하였으며, 특히 전구 병변에 해당하는 CHIP (clonal hematopoiesis of indeterminate potential), CCUS (clonal cytopenia of undetermined significance)에 대해서는 명확한 진단 정의를 제시하고 독립된 병적 상태로 인정하는 방향으로 재정립하였다
기존 진단명 (WHO 4판) | 변경 진단명 (WHO 5판 또는 ICC) | 비고 |
---|---|---|
MDS-SLD, MDS-MLD, MDS-U 일부 |
MDS with low blasts | Blast 수 기준 명칭 표준화, 불명확 진단명 통합 |
MDS with ring sideroblasts | MDS with low blasts and SF3B1 mutation |
SF3B1 변이 기반의 명확한 분류 기준 도입 |
MDS with excess blasts | MDS with increased blasts (WHO) / MDS/AML (ICC) |
WHO는 blast 수 (IB1/IB2)에 따라 명칭 단순화, ICC는 IB2를 독립 진단군(MDS/AML)으로 분류 |
Atypical chronic myeloid leukemia (aCML) | MDS/MPN with neutrophilia (WHO) / aCML (ICC) |
WHO는 명칭 변경, ICC는 유지 |
MDS/MPN with ring sideroblasts and thrombocytosis | MDS/MPN with SF3B1 mutation and thrombocytosis | SF3B1 변이 기반의 명확한 분류 기준 도입 |
CMML-0/1/2 | CMML (proliferative / dysplastic type) (CMML-1/2 기준은 보조적) |
Blast 중심 구분에서 표현형 기반 분류로 전환 |
Pure erythroid leukemia (PEL) | Acute erythroid leukemia | 명칭 변경 및 기준 정비, TP53 변이 강조 (필수는X) |
AML with myelodysplasia-related changes | AML, myelodysplasia-related | 진단명 간소화, 유전학적 이상 중심으로 개정 |
AML with mutated RUNX1 | (삭제됨, WHO) / AML-MR (ICC) | WHO는 예후/특이성 부족으로 삭제, ICC는 AML-MR 정의 유전자로 포함 |
Acute monoblastic leukemia | (삭제됨) | Acute monocytic leukemia로 통합 |
Acute panmyelosis with myelofibrosis | (삭제됨) | 다른 AML subtype 내로 통합 |
NK-lymphoblastic leukemia | (삭제됨) | T-ALL 또는 ambiguous lineage로 재분류 |
질환군 | 변경 사항 | 비고 |
---|---|---|
Clonal hematopoiesis | 신설 | CHIP, CCUS, ICUS 등 도입, 전암 상태 정의 |
MDS, hypoplastic | 신설 | Hypocellular BM 필수, MDS-LB의 하위 유형으로 해석 가능하나 예후/치료 차이 있음 |
MDS with biallelic TP53 inactivation | 신설 | Biallelic or multi-hit TP53 alterations, 예후 불량군으로 독립 분류, blast 기준 불필요 |
AML with NUP98 rearrangement | 신설 (WHO만) | 다양한 NUP98 fusion (NUP98::NSD1 등) 포함, 예후 불량군으로 독립 분류, blast 기준 불필요 |
AML-MR defining somatic mutations | 신설 | ASXL1, BCOR, EZH2, RUNX1 (ICC만), SF3B1, SRSF2, STAG2, U2AF1, ZRSR2 변이 추가 |
Secondary myeloid neoplasms | 신설 | 단독 진단명이 아닌 상위 개념 분류군, 기존 진단명에 병기 형태로 추가 기술 |
B-ALL with TCF3::HLF fusion | 신설 | 예후가 극히 불량한 드문 아형으로 독립 분류 |
B-ALL with ETV6::RUNX1-like features, B-ALL with other defined genetic alterations |
신설 |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GEP), IKZF1 deletion 등으로 진단 가능, 전통적 형태학/면역표현형만으로는 진단 불가 |
CMML | 진단 기준 변경 | 단수구 기준 1.0×10⁹/L → 0.5×10⁹/L 이하로 조정 |
Chronic eosinophilic leukemia | 진단 기준 변경 | 지속적 호산구 증가 기간 6개월 → 4주로 단축 |
AML with NPM1 mutation | 진단 기준 변경 | Blast 기준 불필요, NPM1 변이 단독 시 진단 |
AML with CEBPA mutation | 진단 기준 변경 | Blast ≥20% 기준은 유지, CEBPA biallelic 변이 혹은 bZIP region에 단일 변이 시 진단 |
5. 결론 WHO 제5판 및 ICC 2022는 혈액종양 분류에서 분자유전학 정보를 중심 축으로 개정되었으며, 진단유전검사 의 해석과 연계를 강조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특히 SF3B1, TP53, NPM1과 같은 특정 유전자 변이가 질 병 정의에 포 함되었고, 일부 경우에는 형태학적 이상보다 우선하여 분자유전학적 소견에 기반하여 진단을 내 릴 수 있다. 또한, 유전성 소인, 항암치료 병력, 전구 병변(CHIP, CCUS)의 존재 여부가 병기 정보로 진단명에 반 영되도록 개정되었다. 이에 따라 질병의 원인과 병태생리를 함께 기술할 수 있게 되었고, 임상적 해석의 정확성 도 높아졌다.
진단검사의학과 전문의는 이러한 변화에 맞춰, 정확한 유전자 변이 해석과 최신 진단 분류 체계에 기반한 보고 서를 작성함으로써 임상 진료와 정밀의료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References]
1. WHO Classification of Tumours Editorial Board. Haematolymphoid tumours. WHO classification of tumours.
5th ed. Vol. 11. Lyon: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2024.
2. Arber DA, Orazi A, Hasserjian RP, Borowitz MJ, Le Beau MM, Bloomfield CD, et al. International Consensus
Classification of Myeloid Neoplasms and Acute Leukemias: Integrating morphologic, clinical, and genomic data.
Blood. 2022;140(11):1200–28.